정부는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결과(보도자료).pdf
1.95MB
속기자료.pdf
0.17MB
|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요약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는 약 3,000여 개 학급과 7만 4,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로, 학부모님과 담임 선생님들이 응답한 결과입니다. 이 조사는 학교 교육과정 외에 학교 밖에서 발생한 사교육비 지출을 포함하며, 학원 수강, 개인 과외, 인터넷 강좌 등이 포함됩니다. 주된 목적은 교육 정책과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1. 사교육비 총액 및 증가
- 사교육비 총액은 약 29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는 13조 2,000억 원, 중학교는 7조 8,000억 원, 고등학교는 8조 1,000억 원으로 각각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학생 수는 약 513만 명으로 1.5% 감소했지만, 사교육 참여율과 참여시간의 증가로 사교육비는 여전히 상승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2. 사교육 참여율 및 주당 참여 시간
- 사교육 참여율은 80.0%로, 전년 대비 1.5%p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는 87.7%, 중학교는 78.0%, 고등학교는 67.3%로 각급 학교별 참여율이 모두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주당 참여시간은 전체 평균 7.6시간으로, 전년 대비 0.3시간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각각 7.8시간, 고등학교는 6.9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3.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전체 학생 기준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4,000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는 44만 2,000원, 중학교는 49만 원, 고등학교는 52만 원으로, 고등학교가 가장 높은 사교육비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참여 학생 기준으로는 월평균 사교육비가 59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4. 가구의 소득 수준별 사교육비
-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월평균 소득 800만 원 이상 가구의 학생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67만 6,000원에 달했고, 300만 원 미만 가구는 20만 5,000원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사교육비가 크게 차이를 보였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5. 사교육 수강 목적
- 일반교과는 학교 수업 보충이 주요 목적(50.5%)이었으며, 선행학습(23.1%)과 진학 준비(14.4%)가 뒤를 이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예체능은 취미·교양·재능계발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63.9%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6. 부모의 경제활동 상태별 사교육비 및 참여율
- 맞벌이 가구에서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율이 높았고, 맞벌이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외벌이 가구에서는 아버지 외벌이 가구가 46만 4,000원, 어머니 외벌이 가구는 31만 5,000원으로 나타났습니다속기자료.
7. 지역별 사교육비 및 참여율
- 서울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사교육비가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02만 9,000원으로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습니다속기자료.
8. 늘봄학교 및 방과후학교
- 늘봄학교·방과후학교의 총액은 7,958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으나, 참여율은 36.8%로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속기자료.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들을 위한 통계적 인사이트
- 사교육비 증가: 전반적으로 사교육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등학생의 사교육비는 월평균 77만 2,000원으로 가장 많습니다. 부모의 경제활동 상태에 따라 사교육비 지출에 차이가 있으며, 맞벌이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출이 나타납니다.
- 소득 수준과 사교육비: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가 많이 지출됩니다. 소득 800만 원 이상의 가구에서는 학생당 월평균 67만 6,000원이 지출됩니다.
- 사교육 참여 목적: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은 학교 수업 보충을 위해 사교육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등학교에서는 진학 준비가 주요한 참여 목적입니다.
- 지역별 차이: 서울과 대도시 지역의 사교육비가 높은 반면, 읍면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최근 사교육비 증가율은 읍면 지역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 데이터는 자녀 교육에 있어 부모의 경제적 여건과 자녀 수, 지역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을 위한 사교육비 지출을 계획할 때 이러한 통계적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입시 > 대학 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 대입 전략 분석 (3모 기반) (3) | 2025.04.17 |
---|---|
대학 입시 결과 순위와 연봉 관계 (2) | 2025.03.21 |
돈버는 곳은 따로 있다(재종학원) (5)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