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더리움이 다시 한 번 랠리를 펼치며 $1,900 선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지난글에 -80%의 손실을 보고 있는 ‘이더리움 2배 레버리지 ETF’는 이제 -60%대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번 글에서 그 배경과 메커니즘을 깊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기관수요와 스팟·스테이킹 ETF 심층 분석
2.2. Pectra 업그레이드—11개 EIP의 파급 효과
2.3. Dencun 예고와 멀티체인 상호운용성
2.4. DeFi·L2 생태계 확장세 세부 데이터
2.5. 기술적 지표 진단: RSI·EMA 골든크로스 분석
2.6. 레버리지 ETF: ‘이더리움 2배 ETF’의 구조와 위험
2.7. 거시경제 여건과 자금 흐름 매핑
3. 결론 및 투자 포인트
4. 추천 태그
1. 서론
2025년 5월, 이더리움(ETH)은 약 한 달 만에 15% 이상 상승하며 다시금 시장의 중심에 섰습니다. 이번 랠리에는 전통 기관투자자들의 스팟·스테이킹 ETF 매수, 핵심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DeFi·L2 수요 증가, 그리고 레버리지 상품의 활발한 거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몇 주 전 국내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이더리움 2배 레버리지 ETF’가 투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2. 본론
2.1. 기관수요와 스팟·스테이킹 ETF 심층 분석
- 스팟 ETF 승인 흐름
- 2024년 7월 첫 스팟 ETH ETF 9종 승인 이후, 순유입 자금은 2024년 말까지 약 55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 2025년 1분기에만 12억 달러가 추가 유입되며, ETH 가격에 안정적 바닥을 형성했습니다.
- 스테이킹 통합 ETF
- CBOE·21Shares가 2025년 3월 발표한 스테이킹 통합 ETF는 연 3–4% 스테이킹 보상을 자동 재투자합니다.
- 이 상품은 단순 시세 차익을 넘어 “이자 수익” 기대를 자극하며, 전체 기관 매수세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2. Pectra 업그레이드—11개 EIP의 파급 효과
EIP 번호 주요 개선 기능 기대 효과
EIP-4844 | 데이터 가스 비용 절반 이하로 감소 | 레이어2 거래 수수료 하락 |
EIP-4288 | 스테이킹 캡 상향 | 대형 발리데이터 유입 촉진 |
… | … | … |
- 실제 반응:
- 업그레이드 직후 24시간 거래량 20% 증가
- 평균 블록 처리 시간 12% 단축
2.3. Dencun 예고와 멀티체인 상호운용성
- 주요 내용:
- 레이어2와의 프로토콜 레벨 통합
- zkEVM 지원 강화 → 다른 체인 자산 이동 간소화
- 시장 기대:
- DeFi TVL 중 30% 이상이 L2로 이동할 가능성
- 교차체인 브릿지 수수료 40% 감소 예상
2.4. DeFi·L2 생태계 확장세 세부 데이터
- Total Value Locked (TVL)
- 2025년 5월 기준 이더리움 전체 TVL: $1100억
- 레이어2 비중: 38% → 2024년 말 29% 대비 +9%p 상승
- 주요 프로토콜 트래픽
- Uniswap V3 일일 거래량: $12억 (전월 대비 +18%)
- Aave V3 예치금: $35억 (전년 동기 대비 +22%)
2.5. 기술적 지표 진단: RSI·EMA 골든크로스 분석
- RSI (14일 기준): 65 → 과매수 직전 국면
- EMA 골든크로스: 21일 EMA가 200일 EMA 상향 돌파 확인
- 볼린저 밴드 폭: 0.085 → 지난 6개월 평균(0.070) 대비 21% 확대
→ 변동성 확대 신호로 해석 가능
2.6. 레버리지 ETF: ‘이더리움 2배 ETF’의 구조와 위험
- 상품 구조 요약
- 일일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파생 ETF
- 대표 상품: “ETHB2x” (미국 거래소 상장, 2025년 2월 출시)
- 거래 규모 현황상품명 순자산(AUM) 일평균 거래량 출시 이후 변동성
ETHB2x $1.2억 $5,000만 ±8.5% - 투자자 주의점
-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하루 기준 수익·손실이 극대화됨
- 장기 보유 시 복리효과가 왜곡되어 의도치 않은 손실 발생 가능
- 최근 몇 주간 거래 비중이 전체 ETF 중 15% 가까이 차지하며 단기 변동성 확대에 기여
2.7. 거시경제 여건과 자금 흐름 매핑
- 금리·달러 지수
- 미국 연준 금리 정점론 부각 → 달러 인덱스 6개월 만에 –4%
- 달러 약세는 암호화폐 포함 위험자산 선호로 전이
- 기관 자금 이동
- 전통 헤지펀드, 2025년 1분기 암호화폐 전략 포트폴리오 비중 3.8% → 5.2%로 확대
- 연기금·보험사 내 한정적이지만 진입 테스트 매수 발생
3. 결론 및 투자 포인트
- 스팟·스테이킹 ETF가 안정적 바닥을 다지며 장기 매수 물꼬를 텄고,
- Pectra 업그레이드로 네트워크 효율성이 개선되어 사용자·개발자 유입이 가속화되었으며,
- DeFi·L2의 확장은 ETH 수요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레버리지 ETF(2배 상품)**는 단기 랠리 촉매제 역할을 했지만, 장기 보유 리스크를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 거시경제 환경 변화도 전체적인 위험자산 선호 역풍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투자 제언:
- 중장기: 스팟·스테이킹 ETF AUM 증가 추이를 관찰하며 Dencun 업그레이드 전후 타이밍에 분할 매수
- 단기: 레버리지 ETF는 단기 추세 확인용으로 활용하되, 변동성이 크므로 손절·차익 실현 전략을 철저히 수립
2025.04.13 - [재테크/세계의 ETF] - 2배 수익을 노린다? ETHU(2x Ether ETF)
2배 수익을 노린다? ETHU(2x Ether ETF)
6개월만에 -83% 수익율 기록하고 있다. 대표 알트코인인 이더리움의 상승을 예상하며, 호기롭게 대량매수를 했다. 이대로 진행된다면 원금 회복 가능한 날이 올 것인가. 혹시 상폐가 되진 않을까
wonderingkitri.co.kr
'재테크 > 세계의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lue-Up Program(밸류업 프로그램) -증권주 (1) | 2025.05.12 |
---|---|
중국 투자, 지금이 기회인가 위기인가? (7) | 2025.05.02 |
세계의 이색 ETF 3종: 독특한 투자 기회를 찾다 (1) | 2025.04.29 |
전기차 1위는 누구? Tesla vs BYD 급부상과 국내 ETF 투자전략 (3) | 2025.04.24 |
OARK ETF 소개: 공격적 투자, 월배당금 (4)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