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화. ETF의 종류 총정리: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까?
– 자산군, 전략, 국가, 성격별 ETF 완전 분석
ETF는 단일한 상품군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투자 대상, 전략, 운용 방식,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이러한 분류를 이해하지 않고 ETF를 선택하면, 자신의 투자 성향과 전혀 맞지 않는 상품을 보유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TF를 구조적으로 분류하고, 대표 ETF 종목 및 최근 5년간 수익률까지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
📉 (1) 자산군 기준 ETF 분류
- 지수 추종형: S&P500, 나스닥100, KOSPI200 등 대표 시장 지수를 그대로 추종
- 섹터형: 산업별 분류 (헬스케어, 기술, 에너지 등)
- 테마형: AI, 반도체, 2차전지, ESG 등 테마 중심 구성
대표 ETF 기초지수 최근 5년 수익률 (연평균)
SPY (미국) | S&P500 | +10.2% |
QQQ (미국) | NASDAQ 100 | +15.0% |
KODEX 200 (한국) | KOSPI200 | +3.2% |
ARKK (미국) | 혁신 기술주 액티브 ETF | +6.8% |
📉 (2) 채권형 ETF
- 국채, 회사채 등 다양한 채권 자산군을 추종
- 단기/중기/장기 구분 및 투자등급별 분류
대표 ETF 기초자산 최근 5년 수익률 (연평균)
TLT (미국) | 미국 20년 이상 국채 | -2.3% |
IEF (미국) | 미국 7~10년 중기 국채 | +0.9% |
KBSTAR 국채선물10년 (한국) | 한국 10년 국채 선물 | +1.7% |
🏅 (3) 원자재형 ETF
- 금, 은, 원유, 천연가스 등 실물 자산 기반
-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으로 주로 활용
대표 ETF 기초자산 최근 5년 수익률 (연평균)
GLD (미국) | 금 | +4.1% |
SLV (미국) | 은 | +5.0% |
USO (미국) | 서부텍사스원유(WTI) | +7.8% |
KODEX 골드선물 (한국) | 금 선물 | +4.3% |
🏢 (4) 부동산 ETF (REITs 기반)
- 글로벌 또는 국내 리츠 종목에 투자
- 고정적인 배당수익 기대 가능
대표 ETF 기초자산 최근 5년 수익률 (연평균)
VNQ (미국) | 미국 상장 리츠 | +3.7% |
IYR (미국) | 미국 부동산 섹터 | +3.1% |
TIGER 미국MSCI리츠 (한국) | 미국 리츠 | +4.2% |
2. 지역/국가별 ETF 분류
- 세계 주요국에 분산 투자 (선진 + 신흥국 포함)
- 대표 ETF: ACWI (MSCI All Country World Index)
🇺🇸 (2) 미국 중심 ETF
-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집중 투자
- 대표 ETF: VOO, QQQ, VTI, DIA 등
🇰🇷 (3) 국내 ETF
- KOSPI200, 코스닥150, 국내 섹터/테마
- 대표 ETF: KODEX 200, TIGER 반도체, KBSTAR 고배당 등
🌏 (4) 신흥국 ETF
- 중국, 인도, 베트남, 브라질 등 성장잠재력 높은 국가군
- 대표 ETF: EEM (MSCI 신흥국), VNM (베트남), INDA (인도)
3. 운용 방식 및 전략 기준 분류
- 시장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전통적 ETF
- 운용보수가 낮고 장기 투자에 적합
- 예시: SPY, QQQ, VTI, KODEX 200
🧠 (2) 액티브 ETF
- 펀드매니저의 전략적 운용에 기반
- 정보기술, 혁신기업, 성장주 중심
- 예시: ARKK, KGHG, KODEX 액티브코리아
⚡ (3) 레버리지 & 인버스 ETF
- 레버리지: 지수의 2~3배 수익 추종 (ex. TQQQ)
- 인버스: 지수 하락 시 수익 (ex. SQQQ, KODEX 인버스)
- 단기 전략에 적합, 고위험 구조
유형 설명 주요 ETF
레버리지 | 지수 수익률 x2~3 | TQQQ, KODEX 레버리지 |
인버스 | 지수 하락 시 수익 | SQQQ, KODEX 인버스 |
4. 투자 성향별 ETF 추천투자 성향 특징 추천 ETF 예시
안정형 | 원금 손실 회피, 낮은 변동성 선호 | IEF, KBSTAR 국채선물10년, VNQ, KODEX 단기채권 |
중립형 | 적절한 수익과 안정성 균형 | SPY, KODEX 200, GLD, TIGER 미국S&P500 |
적극형 | 높은 수익률 추구, 일정 수준의 리스크 감수 | QQQ, ARKK, SLV, INDA, KODEX 미국나스닥100 |
공격형 | 높은 변동성과 레버리지 상품 활용 | TQQQ, SQQQ, 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ARKX (우주 테마) |
자신의 투자 성향은 리스크 수용도, 투자 기간, 기대 수익률, 투자 경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기 분류는 일반적인 예시이며, 실제 포트폴리오 구성 시엔 자산 비중 조절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5. ETF 선택 시 고려할 포인트 정리항목 설명
추종 지수 | S&P500, KOSPI200, 나스닥 등 신뢰도 높은 지수 선호 |
운용보수 | 연 0.03%~0.5% 수준. 낮을수록 유리 |
거래량 | 일 거래량 1만 주 이상 권장 (유동성 확보) |
괴리율 | NAV와 시장가 차이, ±1% 이내 이상적 |
세금 구조 | 국내: 매매차익 비과세, 해외: 양도세 22% (250만원 초과 시) |
✅ 마무리
ETF는 단순한 지수 추종 상품이 아닙니다. 투자 전략, 자산군, 시장의 특성에 따라 수익률과 리스크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ETF를 명확하게 분류하고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ETF 선택 기준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셨기를 바랍니다.
- 🔜 다음 글 예고
- 종목명만 보고 사면 위험하다! 운용사, 유동성, 보수, 괴리율, 분산 효과까지 실전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
- 5화: 초보자를 위한 ETF 선택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