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세계의 ETF
전기차 1위는 누구? Tesla vs BYD 급부상과 국내 ETF 투자전략
greatkitri
2025. 4. 24. 21:13
2025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대격변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중국의 전기차 기업 BYD가 있습니다. 테슬라의 아성을 위협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 판매량과 수익성 모두에서 앞질렀습니다.
그렇다면 투자자 입장에서 이 흐름을 어떻게 투자 아이디어로 연결할 수 있을까요? 본 글에서는 BYD와 테슬라의 경쟁 구도 분석은 물론, 국내 상장 ETF를 통한 투자 방법, 수익률 비교, 위험 분석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BYD vs 테슬라: 전기차 왕좌의 주인은?
구분 BYD 테슬라
2024년 총 EV 판매량 | 1.76M + 2.5M (PHEV) | 1.79M |
Q1 2025 BEV 판매 | 416,388대 | 336,681대 |
Q1 2025 순이익 | $1.2~1.4B 예상 | $934M (조정 순익) |
빠른 충전기술 | 5분 완충 (1,000kW) | 약 15분 (V4 슈퍼차저) |
자율주행 보조 | L2+ 전 모델 탑재 (10,000위안 이상 차량) | FSD (유료 구독) |
BYD는 초고속 충전 기술과 자율주행 기능의 기본 탑재를 통해 전기차 보급의 장벽을 허물고 있습니다. 반면, 테슬라는 자율주행 상용화 지연과 브랜드 이미지 훼손(엘론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으로 시장 신뢰를 잃고 있습니다.
BYD 주식, 한국에서 투자할 수 있을까?
✔ 직접 투자
- 홍콩 증시 상장 (1211.HK): 미래에셋, 키움, 한국투자증권 등에서 거래 가능
- 미국 OTC 시장 (BYDDF, BYDDY): 일부 증권사에서 가능하나 유동성 낮음
✔ 간접 투자: 국내 상장 ETF를 통한 투자
🇰🇷한국 상장 중국 전기차 관련 ETF 비교
항목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371460)KODEX 차이나2차전지MSCI(합성) (419430)HANARO 차이나전기(433950)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 삼성자산운용 | NH-Amundi자산운용 |
기초지수 | Solactive China Electric Vehicle Index | MSCI China All Shares IMI Select Batteries Index | KRX 차이나전기차지수 |
설정일 | 2021.10.12 | 2022.03.22 | 2023.09.12 |
1개월 수익률 | +3.11% | -1.91% | +2.45% |
3개월 수익률 | +39.66% | -2.68% | +5.32% |
1년 수익률 | +24.48% | -14.56% | +12.87% |
분배금 지급 | 연 4회 (1, 4, 7, 10월) | 연 1회 | 연 1회 |
최근 분배금 | 10원 (2024.04.30) | 15원 (2024.04.30) | 12원 (2024.04.30) |
배당수익률 | 0.09% | 0.12% | 0.10% |
위험등급 | 1등급 (매우 높음) | 2등급 (높음) | 2등급 (높음) |
총보수(연) | 0.45% | 0.25% | 0.30% |
주요 편입종목 | BYD, CATL, NIO 등 | CATL, BYD, EVE Energy 등 | BYD, NIO, XPeng 등 |
💡 투자 포인트 요약
- 수익률 우선: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 비용 효율 우선: KODEX 차이나2차전지MSCI
- 분산 투자 + 신생 ETF 관심: HANARO 차이나전기차
ETF 투자 시 유의사항
- 배당소득세 과세: 해외 기업이라도 국내 상장 ETF는 매매차익 비과세, 분배금만 과세.
- 환율 영향 없음: KRW로 직접 거래 가능
- 높은 변동성: 전기차 및 중국 시장 특성상 위험도 1~2등급으로 높음.
결론: 전기차 산업의 미래는 BYD가 만든다
BYD는 단순히 전기차 판매량을 넘어, 배터리 기술, 반도체 내재화, 자율주행 시스템까지 자체 개발하며 전방위 확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때 혁신의 아이콘이었던 테슬라가 머스크 리스크에 흔들리는 지금, 투자자라면 BYD의 성장성과 관련 ETF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