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대학 입시

사교육에 미친 나라; 1억/학생

greatkitri 2025. 3. 21. 22:25

정부는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결과(보도자료).pdf
1.95MB
속기자료.pdf
0.17MB

 

 

  • 사교육비 증가는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투자 수준이 높아졌음을 나타내며, 이는 자녀 교육을 위한 추가적인 재정적 부담을 의미합니다.
  • 전체 학생의 평균 사교육비 증가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학부모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공교육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 참여 학생의 사교육비 증가는 사교육에 의존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개인적인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외부 교육 자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사교육 참여율의 증가는 학생들이 더 많은 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교육에 대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사교육 목적의 변화는 학부모들이 자녀의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예체능을 통한 전인적 성장에도 큰 가치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양한 교육적 수요가 반영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요약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는 약 3,000여 개 학급과 7만 4,0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로, 학부모님과 담임 선생님들이 응답한 결과입니다. 이 조사는 학교 교육과정 외에 학교 밖에서 발생한 사교육비 지출을 포함하며, 학원 수강, 개인 과외, 인터넷 강좌 등이 포함됩니다. 주된 목적은 교육 정책과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1. 사교육비 총액 및 증가

  • 사교육비 총액은 약 29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는 13조 2,000억 원, 중학교는 7조 8,000억 원, 고등학교는 8조 1,000억 원으로 각각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학생 수는 약 513만 명으로 1.5% 감소했지만, 사교육 참여율과 참여시간의 증가로 사교육비는 여전히 상승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2. 사교육 참여율 및 주당 참여 시간

  • 사교육 참여율은 80.0%로, 전년 대비 1.5%p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는 87.7%, 중학교는 78.0%, 고등학교는 67.3%로 각급 학교별 참여율이 모두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주당 참여시간은 전체 평균 7.6시간으로, 전년 대비 0.3시간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각각 7.8시간, 고등학교는 6.9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3.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전체 학생 기준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4,000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습니다.
    • 초등학교는 44만 2,000원, 중학교는 49만 원, 고등학교는 52만 원으로, 고등학교가 가장 높은 사교육비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참여 학생 기준으로는 월평균 사교육비가 59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4. 가구의 소득 수준별 사교육비

  •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월평균 소득 800만 원 이상 가구의 학생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67만 6,000원에 달했고, 300만 원 미만 가구는 20만 5,000원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사교육비가 크게 차이를 보였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5. 사교육 수강 목적

  • 일반교과학교 수업 보충이 주요 목적(50.5%)이었으며, 선행학습(23.1%)과 진학 준비(14.4%)가 뒤를 이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예체능취미·교양·재능계발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63.9%로 나타났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

6. 부모의 경제활동 상태별 사교육비 및 참여율

  • 맞벌이 가구에서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율이 높았고, 맞벌이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
  • 외벌이 가구에서는 아버지 외벌이 가구가 46만 4,000원, 어머니 외벌이 가구는 31만 5,000원으로 나타났습니다​속기자료.

7. 지역별 사교육비 및 참여율

  • 서울은 다른 지역에 비해 사교육비가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02만 9,000원으로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습니다​속기자료.

8. 늘봄학교 및 방과후학교

  • 늘봄학교·방과후학교의 총액은 7,958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으나, 참여율은 36.8%로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속기자료.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들을 위한 통계적 인사이트

  1. 사교육비 증가: 전반적으로 사교육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등학생의 사교육비는 월평균 77만 2,000원으로 가장 많습니다. 부모의 경제활동 상태에 따라 사교육비 지출에 차이가 있으며, 맞벌이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출이 나타납니다.
  2. 소득 수준과 사교육비: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가 많이 지출됩니다. 소득 800만 원 이상의 가구에서는 학생당 월평균 67만 6,000원이 지출됩니다.
  3. 사교육 참여 목적: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은 학교 수업 보충을 위해 사교육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등학교에서는 진학 준비가 주요한 참여 목적입니다.
  4. 지역별 차이: 서울과 대도시 지역의 사교육비가 높은 반면, 읍면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최근 사교육비 증가율은 읍면 지역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 데이터는 자녀 교육에 있어 부모의 경제적 여건과 자녀 수, 지역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을 위한 사교육비 지출을 계획할 때 이러한 통계적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통계청]_2024년_초중고_사교육비조사_…속기자료.